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30℃
좋음
)0mm
)희망찬 새보령정보공개
희망찬 새보령소통·참여
희망찬 새보령전자민원
희망찬 새보령보령소식
희망찬 새보령분야별정보
희망찬 새보령보령소개
조선시대 말기에는 보령군 주포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에 26개 동리, 장척면의 7개 동리, 목충면의 14개 동리, 오천군 천동면의 산수동 일부를 병합하여 옛날에 포구였다는 구전과 한쪽 서해안이 갯가라는데 연유하여 주포면이라 하였다.
경주 강씨 , 김해 김씨, 창녕 조씨, 청주 한씨, 용인 이씨, 진주 강씨,경주 이씨, 한산 이씨, 전주 유씨의 집성마을이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신성리(新城里)라 부르다가 1962년 ‘보령리(保寧里)’로 변경하여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본래 보령군 주포면(周浦面) 지역으로 옛 보령현의 치소(治所)가 있던 곳이어서 읍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원당리(元堂里), 사청리(射廳里)의 각 일부와 장척면의 상리(上里), 하리(下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신성리(新城里)라 하여 보령군 주포면에 편입되었다가 1962년 11월 리의 명칭이 보령리(保寧里)로 변경되었다. 이후, 1995년 1월 1일 보령군이 시로 승격하면서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로 변경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조선 후기 보령군 장척면(長尺面) 지역의 ‘마명(馬鳴)’과 ‘내강(內江)’의 이름을 따서 ‘마강리’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본래 보령군 장척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내강리, 외강리(外江里), 마명리, 구수동(九水洞), 상리(上里), 망선동(望仙洞)의 각 일부와 오천군(鰲川郡) 천동면(川東面), 산수동(山水洞) 일부를 병합하고 ‘마강리’라 해서 주포면(周浦面)에 편입되었다. 이후, 1995년 1월 1일 보령군이 시로 승격하면서 보령시 주포면 마강리관련항목 보기로 변경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조선 후기 보령군 주포면(周浦面) 지역의 봉당성(鳳堂城)의 이름을 따라 ‘봉당리’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본래 보령군 주포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원당리(元堂里)·사청리(射廳里)의 각 일부와 장척면(長尺面)의 고남리(古南里), 도랑당리(道郞堂里), 하리(下里) 일부를 병합하고 ‘봉당리’라 하여 보령군 주포면에 편입되었다. 이후, 1995년 1월 1일 보령군이 시로 승격하면서 보령시 주포면 봉당리로 변경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조선 후기 보령군 주포면(周浦面) 지역의 ‘관촌(館村)’과 ‘산천(山川)’의 이름을 따서 ‘관산리’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본래 보령군 주포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관촌, 이목동(梨木洞)과 명계리(鳴溪里), 산천리의 일부를 병합하고 ‘관산리’라 하여 주포면에 편입되었다. 이후, 1995년 1월 1일 대천시와 보령군이 통합되어 보령시로 개편될 때 보령시 주포면 관산리로 변경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조선 후기 보령군 주포면(周浦面) 지역의 ‘관촌(館村)’과 ‘산천(山川)’의 이름을 따서 ‘관산리’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본래 보령군 주포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관촌, 이목동(梨木洞)과 명계리(鳴溪里), 산천리의 일부를 병합하고 ‘관산리’라 하여 주포면에 편입되었다. 이후, 1995년 1월 1일 대천시와 보령군이 통합되어 보령시로 개편될 때 보령시 주포면 관산리로 변경되었다.